Web Application의 구성 자체에 대해 너무 모르는 것 같아서 Servlet과 JSP로 직접 간단한 Web Application을 만들어보기로 했다.사실 SpringBoot 강의를 좀 들어봤는데 뭐가 연동되고 있는 건지 잘 모르겠어서 직접 해보기로 했다.이번에 Tomcat을 써 본김에 Servlet에 대해서도 궁금해져서 🔨 SpecIntelliJ IDEAJava 17.0.10Apache Tomcat 9.0.93 Java 설치자바와 톰캣의 버전 호환성 확인https://tomcat.apache.org/whichversion.htmlJava 17 버전과 Tomcat 9 버전을 사용할 예정이다. 이유는 딱히 없다.공부할 용도로 쓸 거라 맥에 깔려있는 JDK 버전을 사용했다.# 설치된 Java가 있는..
Tomcat
WAS에 jsp 모듈 설치 wget https://dev.mysql.com/get/Downloads/Connector-J/mysql-connector-java-8.0.23.tar.gz tar zvxf mysql-connector-java-8.0.23.tar.gz cd mysql-connector-java-8.0.23/ 소스 설치하고 압축 해제 cp -a mysql-connector-java-8.0.23.jar /usr/lib/jvm/jre/lib/ext/ cp -a mysql-connector-java-8.0.23.jar /usr/local/tomcat8/lib/ jar 파일 복사 was 서버 설정 # /usr/local/tomcat8/conf/context.xml ... ... name - jdbc/ ..
NLB WEB01, WEB02에서 WAS01, WAS02로의 흐름이 NLB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AWS NLB의 동작 방식 AWS NLB 생성 타겟 그룹 생성하기 NLB의 트래픽을 넘겨줄 대상 그룹 만들기 web의 아웃바운드를 통해 나온 트래픽을 타겟그룹에서 8080으로 받는다. NLB의 트래픽을 보내줄 WAS 인스턴스 2개 선택 NLB 생성하기 내부에서 사용할거니까 Internal NLB가 위치할 subnet 선택 WEB01, WEB02가 위치한 subnet에 붙여주었다. target group을 붙여준다. 보안그룹 수정 web-sg 아웃바운드를 설정해서 web에서 8080포트로 WEB01, WEB02가 있는 서브넷으로 트래픽을 보낸다. was-sg의 인바운드에서 WEB01, WEB02가 있는..
WEB01, 02 Apache 2.4.X WAS01, 02 Tomcat 8.5.X DB01 MySQL 5.7.X (8.0.X 버전으로 하면 안됨) Tomcat 설치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8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8.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s of Tomcat 8.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
[ec2-user@ip-10-0-180-105 bin]$ sudo ./startup.sh Using CATALINA_BASE: /usr/local/tomcat Using CATALINA_HOME: /usr/local/tomcat Using CATALINA_TMPDIR: /usr/local/tomcat/temp Using JRE_HOME: /usr Using CLASSPATH: /usr/local/tomcat/bin/bootstrap.jar:/usr/local/tomcat/bin/tomcat-juli.jar touch: cannot touch '/usr/local/tomcat/logs/catalina.out': No such file or directory /usr/local/tomcat/bin/catal..
WEB01, 02 Apache 2.4.X WAS01, 02 Tomcat 8.5.X DB01 MySQL 5.7.X 소스 설치 소스설치, 수동설치, 컴파일설치? Linux에서 소스를 직접 다운 받아 컴파일하여 설치하는 것 ↔ 패키지 설치(yum 또는 apt 설치) 패키지 설치는 간편하지만 불필요하게 설치되는 파일들이 있고 패키지 단위로 설치되어 관리가 어렵다. 소스 파일은 /usr/local/src에 보관하고 /usr/local/에 설치하는 것이 관례 소스 설치 순서 소스파일을 내려받고 ./configure로 설정하고 make로 컴파일하고 make install로 설치한다. configure: 소스파일에 대한 환경설정. 서버 환경에 맞춰 makefile을 생성 make: 컴파일 make install: 컴파..